아파트 분양을 노리는 무주택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 청약가점제입니다.
청약가점제는 정부가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우선적으로 아파트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입니다.
그런데 막상 계산해보면 내 점수가 얼마나 되는지, 그리고 당첨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청약가점제의 계산 방법, 점수 구조, 실제 사례, 그리고 당첨 전략까지 차근차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내 청약 점수가 몇 점이고 앞으로 어떻게 점수를 높일 수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목차 >
- 청약가점제의 핵심 개념과 구조
- 청약가점 계산 방법 (무주택 기간·부양가족 수·청약통장 가입기간)
- 실제 점수 예시와 당첨 가능성 분석
- 청약가점제 주의사항과 자주 묻는 질문
- 온리나의 생각 더하기
1. 청약가점제의 핵심 개념과 구조
청약가점제는 ‘얼마나 절실하게 집이 필요한가’를 점수로 환산해 당첨자를 선정하는 방식입니다.
크게 세 가지 항목에서 점수를 부여합니다.
- 무주택 기간 – 최대 32점
- 부양가족 수 –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 최대 17점
세 항목의 합계 84점이 만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당첨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 핵심 요약 >
- 무주택 기간이 길수록, 부양가족이 많을수록, 청약통장 가입기간이 길수록 유리합니다.
- 젊은 세대일수록 높은 점수를 받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2. 청약가점 계산 방법
2-1. 무주택 기간 (최대 32점)
- 1년 미만: 2점
- 15년 이상: 32점
- 1년 단위로 2점씩 가산
- 기준일: 만 30세가 된 날 또는 혼인신고일 중 빠른 날짜부터 계산
- 미혼이며 만 30세 미만이면 0점
무주택 기간 | 점수 |
1년 미만 | 2점 |
5년 | 10점 |
10년 | 20점 |
15년 이상 | 32점 |
2-2.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 본인을 제외한 부양가족 기준
- 0명: 5점, 1명당 5점씩 가산, 최대 35점
- 부양가족 인정 조건: 주민등록상 3년 이상 동일 세대원 + 직계존비속
- 미혼 자녀는 만 30세 이상 또는 결혼 전까지 1년 이상 동일 세대원이어야 인정
부양가족 수 | 점수 |
0명 | 5점 |
2명 | 15점 |
4명 | 25점 |
6명 이상 | 35점 |
2-3. 청약통장 가입기간 (최대 17점)
- 6개월 미만: 1점
- 15년 이상: 17점
- 1년 단위로 1점씩 가산
가입기간 | 점수 |
1년 | 3점 |
5년 | 7점 |
10년 | 12점 |
15년 이상 | 17점 |
3. 실제 점수 예시와 당첨 가능성 분석
서울 아파트 청약 당첨자의 최저 가점(평균치와 유사):
- 2022 하반기: 37.3점
- 2023 상반기: 57.5점
- 2023 하반기: 55.3점
- 2024 상반기: 58.2점
- 2024 하반기: 60.4점
즉, 서울에서 최소 50점 이상이면 기대 가능, 지방은 40점대에서도 당첨 사례가 있습니다.
사례 1
만 30세, 미혼, 무주택 1년, 부양가족 0명, 청약통장 5년 → 14점
사례 2
만 35세, 무주택 6년, 부양가족 2명, 청약통장 10년 → 38점
사례 3
만 40세, 무주택 12년, 부양가족 3명, 청약통장 16년 → 53점 (서울 당첨권 진입)
4. 청약가점제 주의사항과 자주 묻는 질문
Q1. 무조건 84점 만점이 되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지역·단지별 경쟁률에 따라 40~60점대도 충분히 당첨될 수 있습니다.
Q2. 부양가족은 어떻게 늘리나요?
결혼 후 자녀 출산, 부모 봉양, 주민등록 이전을 통해 가능합니다. 단, 일정 기간 동일 세대원 조건이 필요합니다.
Q3. 청약통장 점수는 부부 합산이 되나요?
2024년 3월부터 본인과 배우자의 가입기간을 합산해 50%까지 인정합니다.
5. 온리나의 생각 더하기
청약가점제는 ‘주택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기회를 주겠다’는 취지이지만, 젊은 세대에게 불리한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포기하기보다는, 무주택 기간 유지 + 부양가족 수 관리 + 청약통장 장기 보유라는 세 가지 전략을 병행해야 합니다.
특히, 결혼을 계획 중이거나 장기적으로 주택 마련을 준비하는 분들은 청약통장 가입부터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이 가장 빠른 날입니다. 지금 당장 내 점수를 계산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전략을 세워보세요.
'재테크 더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대출 규제 완전정리|LTV·DTI·DSR·스트레스DSR 최신 변화와 한도 계산법 (0) | 2025.08.15 |
---|---|
임대차 3법 완전 정리|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상한제·전월세신고제 한 번에 이해하기 (2) | 2025.08.12 |
셀프로 내용증명 보내기 완전정복|방법과 양식, 주의사항까지 (1) | 2025.08.11 |
소중한 전세금을 지키는 3가지 방법|확정일자·전세권·보증보험 완전 가이드 (2) | 2025.08.10 |
월세 계약서 작성 시 주의사항|분쟁 없는 안전한 계약 가이드 (2) | 2025.08.09 |
부동산 등기부등본 보는 법|표제부·갑구·을구 한 번에 끝내는 실전 가이드 (4) | 2025.08.08 |
전월세 계약 체크리스트 완전정복|사기 예방부터 안전한 계약 전략까지 (1) | 2025.08.05 |
집값 결정 공식 완전정복|전세가와 기대치로 읽는 부동산 가격 흐름 (4)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