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더하기

"월급날, 돈의 흐름을 세팅하자" 월급쟁이의 진짜 재테크는 여기서 시작된다

by 온리나1115 2025. 5. 17.
반응형

"월급날, 돈의 흐름을 세팅하자" 월급쟁이의 진짜 재테크는 여기서 시작된다

목차

 

왜 월급날은 재테크의 출발점인가

많은 사람들은 “돈이 생기면 투자하겠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투자할 돈은 저절로 남지 않습니다.
투자는 ‘하고 남은 돈’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떼어놓은 돈’으로 해야 합니다.

월급 → 지출 → 남은 돈 → 저축 ❌
월급 → 저축 → 남은 돈 → 지출 ✅

이 순서만 바꿔도 당신의 자산 그래프는 달라집니다.
이 글에서는 ‘돈의 흐름을 세팅하는 법’을 통해, 실천 가능한 재테크 시스템을 소개합니다.

 

월급이 사라지는 구조를 먼저 파악하자

우리는 월급이 들어오면 그중 일부가 자동으로 빠져나간다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순서로, 얼마나 빠져나가는지는 모릅니다. 정리해 보면 이렇습니다.

▸ 월급 →

  • 4대 보험 (국민연금, 건강·고용·장기요양 보험)
  • 소득세
  • 고정비 (주거비, 보험료, 통신비 등)
  • 변동비 (식비, 쇼핑, 교통비 등)
  • 잔액 (→ 대부분 무계획 소비 또는 미사용)

이 순서를 반대로 바꾸는 것이 ‘재테크 마인드셋의 시작’입니다.

 

지출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나눠보자

모든 지출은 크게 고정비변동비로 나뉩니다.

< 고정비란? >

매월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

  • 예: 월세, 대출상환, 관리비, 보험료, 통신비, 교육비, 정기구독 등
  • 특징: 줄이기 어렵지만 파악은 쉬움

< 변동비란? >

월별로 유동적으로 달라지는 비용

  • 예: 식비, 외식비, 미용, 쇼핑, 육아비, 의료비, 문화비
  • 특징: 줄이기는 쉬우나 파악은 어려움

팁: 고정비는 목록화하고, 변동비는 예산을 설정하세요.

 

돈의 흐름을 바꾸는 실전 전략

책에서는 “투자하고 남은 돈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단순하지만 강력한 원칙입니다.

< 변화 전 흐름 >

월급 → 고정비/변동비 → 잔액 → ‘있으면 저축, 없으면 패스’

< 변화 후 흐름 >

월급 → 저축/투자 자동이체 → 고정비/변동비 → 생활비

핵심은 자동화입니다.

  • 월급날 바로 1일 또는 25일 기준으로 투자금부터 자동이체
  • 이후 카드값, 공과금, 대출, 보험 순서대로 자동 이체
  • 남은 금액을 생활비로 사용 → “잔액소비 시스템”

초보자를 위한 실천 포인트

  • 자동이체를 월급일+1일로 설정
  • 투자 자동이체 → 생활비 → 카드값 순
  •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 사용 권장

 

공무원 A씨의 돈 흐름 세팅 예시

실제 책에 등장하는 공무원 A씨의 고정비/변동비 항목입니다.
월급 실수령액은 약 270만 원 수준입니다.

구분항목금액
고정비 월세 700,000원
고정비 대출 상환 150,000원
고정비 관리비/공과금 150,000원
고정비 생명/손해/자동차 보험 325,000원
고정비 연금/건강보험 -
고정비 통신비 65,000원
고정비 기타 정기지출 (부모님 용돈 등) 30,000원
고정비 합계   약 145만 원
 

| 변동비 | 외식비/커피 | 200,000원 |
| 변동비 | 쇼핑/의류 | 200,000원 |
| 변동비 | 문화/레저 | 100,000원 |
| 변동비 | 기타 | 100,000원 |
| 변동비 합계 | | 약 60만 원 |

총 지출: 약 205만 원
남는 금액: 약 65만 원 (→ 저축 또는 소비)

이 사례는 단순히 ‘얼마를 쓰느냐’가 아니라
어떤 항목에, 어떤 우선순위로 돈을 쓰는가를 보여주는 훌륭한 구조입니다.

 

결론: 소비 습관을 고치면, 투자 근육이 생긴다

사람은 환경의 동물입니다.
‘돈의 흐름’을 설계하면, 우리는 그 시스템 안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무작정 ‘절약하자’는 다짐보다, 구조를 바꾸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 월급 → 저축 자동이체 → 고정비 → 생활비 → 여유자금 소비
  • 체크카드, 가계부 앱, 신용카드 1개만 사용
  • 지출 항목 카테고리화
  • 불필요한 고정비 제거 → 보험 리모델링, 정기 구독 해지

작은 습관이 쌓이면, 투자할 돈이 생기고, 미래가 보이기 시작합니다.

 

온리나의 생각 더하기

이 책을 읽으며 느낀 점은 “돈이 부족한 게 아니라, 흐름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많은 사회초년생들이 '돈이 없다'고 말하지만
정작 어디에, 어떻게 썼는지는 기억하지 못합니다.

돈이 들어오자마자 사라지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당신이 돈의 방향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읽은 오늘, 월급날 이후 ‘가장 먼저 나가는 돈’을 재설정해보세요.
작지만 강력한 변화가 시작될 것입니다.

 

 

 

 

<출처: 월급쟁이 재테크 상식사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