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동양철학41

도가 사상의 인식론 - 회의와 침묵, 진정한 앎을 향한 여정 회의론 진지외(眞知外)와 소지(小知) 언어의 부정 회의론1) 노자는 지식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였습니다. 그는 일상적인 지식이나 학문, 경험적 앎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며, 『노자』 제18장에서 "지혜가 생겨나자 큰 거짓이 뒤따르게 되었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제19장에서는 "성스러움과 지혜를 그치면 백성들은 백배나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라고 하여, 인위적 지식의 폐해를 지적하였습니다. 노자는 『노자』 제38장에서 "앞서 안다고 하는 것은 도의 꽃과 같은 것이며, 이는 어리석음의 시초이다"라고 하였는데, 여기서 그는 지식이란 꽃처럼 겉으로는 화려하나 본질적인 앎이 아니며 곧 시들어버리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그는 일상적 경험이나 이성적 분석으로 획득한 지식은 도에 이르기 위한 참된 앎.. 2025. 4. 28.
도가 철학에서 본 도(道)의 인식과 신비적 직관 도를 알고자 함 신비적 직관 도를 알고자 함도가 철학에서 중심적으로 다루는 도(道)는 단순히 철학적 개념이나 추상적인 원리가 아니라, 모든 존재의 근원이며, 생성과 소멸을 주관하는 본체로 간주됩니다. 도가 사상가들은 도를 단순히 인지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삶의 원리로 체화하고, 우주와의 일체감을 회복하는 궁극의 인식 대상으로 삼았습니다. 도란 곧 만물의 법칙이자 우주의 리듬이며, 존재가 스스로 그러하도록 이끄는 근본 힘입니다. 따라서 도를 인식한다는 것은 세계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인간 존재의 자리매김을 재정립하는 일이며, 존재 전반에 대한 통찰로 이어지는 여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노자는 도에 대한 앎이야말로 진정한 앎이라고 주장하며, 도를 아는 것은 존재와 우주의 본질을 꿰뚫는.. 2025. 4. 27.
도가 철학에서 본 인간 본성, 운명, 그리고 생사의 의미 순진무구한 인간만물의 본성은 같음 운명론 생사를 초월함 순진무구한 인간도가는 인간이 본래 태어날 때에는 순진무구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재물, 지위, 명예, 권력 등의 다양한 욕망이 생겨나며 고통을 겪게 되었다고 설명합니다. 1) 노자는 인간도 만물과 마찬가지로 공허하고 무형한 존재로, 무위자연한 도(道)로부터 덕을 부여받아 생겨났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 즉 덕은 본래 순박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노자』 제55장에서 “덕이 두터운 자는 벌거벗은 갓난아이와 같다”고 하였으며, 제20장에서는 “나만이 홀로 담박하구나. 낌새조차 모르는 것이 마치 웃을 줄 모르는 갓난아이 같다”고 말하였습니다. 이는 갓난아이와 같이 자아의식과 분별의식이 없는 상태가 곧 순진무구함과 무지무욕함이라는 의미입니다. 2) 장자 .. 2025. 4. 26.
도가 우주를 설명하는 방식 -도(道)의 본체성과 생성 원리 도(道)는 만물의 근원입니다 도는 형체가 없습니다 도는 시공을 초월하여 스스로 존재합니다 도는 만물 속에 내재합니다 무위자연(無爲自然) 만물의 생성 물극필반(物極必反) 도(道)는 만물의 근원입니다도가 사상은 우주론, 인간론, 인식론, 수기론 등 다양한 주제를 아우르는 일관된 철학적 체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도가 사상은 중국 철학사에서 가장 먼저 체계적인 우주론을 제시한 사상으로 평가받습니다. 1) 노자는 당시 일반적으로 믿어지던 주재자로서의 하늘, 즉 상제(上帝)의 개념을 부정하고, 도(道)를 우주 만물의 궁극적 근원으로 제시하여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였습니다. 이러한 철학적 기조는 양주와 열자를 거쳐 장자에 이르러 하나의 사상적 완성을 이루게 됩니다.『노자』에서는 도라는 단어가 총 76회.. 2025. 4. 25.
도가철학, 왜 지금 다시 주목받는가? 도가철학의 의의도가철학의 발견도가철학의 경전도가철학의 영역온리나의 생각 더하기 도가철학의 의의도가(道家, Taoism), 또는 도가철학은 기원전 500년경 유교보다 앞서 중국에서 등장하였습니다. 이후 도가와 더불어 유교 및 불교는 중국철학의 양대 축으로서 중국 사상사에 지속적인 영향을 끼쳤습니다. 유교는 법가, 묵가, 명가 등 다양한 학파에 영향을 주었고, 불교는 중국에서 정착하는 과정에서 도가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습니다. 나아가 도가는 유·불교와 함께 동아시아 전역으로 전파되며 큰 문화권을 형성하게 되었고, 중국인의 심층적인 철학적 자유와 예술적 정서에 깊이 스며들었습니다.‘도가’라는 명칭의 어원은 ‘도(道)’라는 개념에서 출발합니다. 도는 우주 만물을 생성하는 실재로 이해되며, 노자와 장자에 의해 .. 2025. 4. 24.
인도철학 입문 개요 - 베다 전통과 사문 전통의 사상 흐름 인도 철학의 지리적·문화적 배경 인도 사상의 다양성과 통일성 문제 인도철학의 공통된 문제의식: 보편자와 개체 베다 전통의 기원과 구성 정통 6파 철학 상세 소개 베다 전통을 부정한 사문 전통: 불교와 자이나교 반(反)베다 사상가들의 자유 사유 불교의 사상과 바라문교 비판 인도철학의 대응과 종합: 바가바드 기타의 등장 현대 인도철학의 유산과 영향력 온리나의 생각 더하기 인도 철학의 지리적·문화적 배경인도는 지리적으로 남아시아에 위치한 대륙 국가로, 세계 인구 1위, 국토 면적 7위라는 거대한 스케일을 자랑합니다. 다양한 기후대와 자연환경, 복잡한 민족 구성 속에서 형성된 인도의 문화는 그 자체로 하나의 대륙 문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파키스탄, 네팔, 방글라데시 등과 국경을 접하며, 고대.. 2025. 4. 23.
728x90